모기지 누적계산기

$
%
years


Payment Schedule

개월 누적원금 % 누적이자 % 합계 %

'%'는 원금 대비 비율입니다.

대부분의 사람들이 Mortgage loan(모기지 대출)을 받아서 집을 사죠. Zillow나 Redfin에서 집을 보실 때 대부분 집의 가격(Price)과 함께 매달 얼마를 내야하는지(monthly payment)를 많이 보실꺼라고 생각합니다. 여기 $650,000의 집이 있습니다. Down payment를 $150,000를 하고, 나머지 $500,000를 모기지론으로 대출받아서 집을 산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. 그럼 모기지 회사에 원금과 이자를 합쳐서 매달 $3,503을 내야합니다.

30년 고정금리7.52%
모기지 원금$500,000
매달 원금+이자$3,502.92

이것만 보면 매달 $3,503를 모기지로 지출해야하는 건 알 수 있지만, 매달 내야하는 원금이자가 얼마인지는 알 수 없죠.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매달 같은 금액을 내지만 원금과 이자의 비율이 매달 달라진다는걸 간과하기 쉽습니다. 이미 알고 계신 분들도 $3,503 중에서 첫달에 이자를 얼마나 내는지를 직접 계산해보면 상당히 놀라곤 하죠. 그리고 3년이 지나도, 5년이 지나도 $3,503 중에서 원금의 비율은 얼마 되지 않습니다.

모기지로 $500,00030년 고정금리 7.52%로 빌렸을 때 첫달에 내야하는 원금은 겨우 $369.59입니다. 그리고 나머지 $3,133.33을 이자로 냅니다. 250개월(20년 이상)이 지나야 겨우 매달 내는 $3,502.92에서 원금과 이자가 비슷해집니다. 매달 내야하는 원금과 이자는 모기지 계산기에서 계산해보세요.

그럼 한달 한달이 지날 때마다 누적으로는 원금의 얼마를 갚게 될까요? 그건 아래의 모기지 누적계산기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. 30년 고정금리였으니까 3년이면 원금의 10%는 갚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훨씬 조금 갚게 됩니다. 5%도 아닌 원금의 3%도 갚지 못하죠. $500,000를 빌렸지만 원금은 겨우 $15,000도 갚지 못하는거죠. 8년 이상(99개월)을 갚아야 겨우 원금의 10%가 되네요. 그동안 이자는 원금의 60% 가까이 내는동안 말이죠.

표에서 제일 처음은 개월수를 나타내고, 그 다음 누적원금%는 누적으로 갚아나가는 원금과 빌린 금액에서 얼마를 갚았는지를 백분율로 보여주게 됩니다. 누적이자%는 그 동안 지출한 누적 이자와 대출금액 대비 누적이자의 비율을 나타냅니다. 마지막 합계%는 누적원금과 누적이자를 합한 금액을 나타내고 마찬가지로 대출원금 대비 총 얼마나 지출했는지를 나타냅니다.

예를 들어서 아래와 같이 30년 마지막 mortgage payment에서는 당연히 누적으로 대출원금 $500,000를 100% 전부 갚게 되고, 이자는 누적으로 30년 동안 대출원금의 152.21%$761,052.14를 내게되는거죠. 그리고 30년을 전부 갚으면 원금과 이자를 합쳐서 누적으로 대출원금의 252.21%이 무려 $1,261,052.14를 지출하게 되네요. 자! 이제 여러분들의 모기지를 계산해보세요!

Mortgage 계산기 바로가기

Leave a Comment

Scroll to Top